금강경 解 (응화비진분) > 불교사전

淸淨法身 비로자나불 華嚴敎의 本尊

(사)대한불교원융종
불교교리 불교사전

불교사전

금강경 解 (응화비진분)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원산
댓글 0건 조회 2,143회 작성일 14-12-27 17:33

본문

須菩提若有人以滿無量阿僧祗世界七寶持用布施若有善男子善女人
수보리약유인이만무량아승지세계칠보지용보시약유선남자선녀인

發菩薩心者持於此經乃至四句偈等受持讀誦爲人演說其福勝彼
발보살심자지어차경내지사구게등수지독송위인연설기복승피

云何爲人演說不取於相如如不動何以故
운하위인연설불취어상여여부동하이고
 
   一切有爲法       일체유위법
   如夢幻泡影       여몽환포영
   如露亦如電       역로역여전
   應作如是觀       응작여시관
  
 
佛說是經已長老須菩提及諸比丘比丘尼優婆塞優婆尼
불설시경이장로수보리급제비구비구니우바새우바이

一切世間天人阿修羅聞佛所說皆大歡喜信受奉行
일체세간천인아수라문불소설개대환희신수봉행
 
수보리야. 만약 어떤 사람이 한량없는 아승지세계에 가득히 쌓인 칠보를 보시에 썼더라도 어떤 선남자 선녀인으로서 보살심을 일으킨 이가 이 경을 지니고 혹은 사구게만이라도 받아지니고 읽고 외우고 남을 위하여 일러주면 그 복이 저 보시한 복보다 더 나을 것이니 어떻게 남을 위하여 일러 줄 것인가?  모양(相)에 집착하지 않고 항상 여여(如如)하여 동요가 없어야 하느니라. 무슨 까닭이겠는가
 
   온갖 유위(有爲)의 법은 
   꿈 같고 꼭둑각시 같고 거품 같고 그림자 같으며                 
   이슬 같고 번개 같으니
   응당 이렇게 관(觀) 할 지어다
 
부처님께서 이 경을 설(說)하심을 마치시니 장로 수보리와 여러 비구·비구니와 우바새 · 우바이와 일체모든 세간의 천상 인간과 아수라들이 부처님이 설하신 법문을 듣고 모두들 매우 기뻐하면서 믿고 받들어 행하였다.
 
1. 보살심(菩薩心) : 보리심(菩提心)과 같은 말로서 보살의 마음을 말한다.
보살은, "중생을 다 제도하리라, 번뇌를 도두 다 끊으리라, 법문을 모두 다 배우리라, 불도를 모두 다 깨우치리라"라는 내용을 가진 사홍서원(四弘誓願)을 갖고 있다.
 
즉 보살은 위로는 보리를 구하고, 아래로는 일체 중생을 교화하려는 마음을 가지고 있는데, 이 가운데 지장보살처럼 중생의 제도를 위하여 영원히 성불하지 않겠다는 보살도 있다. 따라서 보살심은 이렇게 가이 없는 대자대비의 마음을 말하는 것이다.
 
2. 꿈이요, 허깨비요, 물거품이요, 그림자 같은 것, 이슬 같고 또 번개와도 같은 것, 마땅히 이와 같이 볼지니라(如夢幻泡影 如露亦如電 應作如是觀) : 산스크리트경을 보면 이 게구(偈句)의 그림자(影) 대신 구름(雲)·별(星)·눈(目)·등불(燈火) 등이 들어가 있어 9개의 비유로 되어 있다. 이 게구는 금강경에 있는 게구 중 가장 뛰어난 명구로 손꼽히고 있다. 지금까지의 금강경 말씀이 바로 이 게구에 모두 집대성되어 있다고 할 수 있다.
 
3. 한결같아서 움직이지 않는다(如如不動) : 찬술 하권({대정신수대장경} 33, p.225 上)에서는 "여여부동(如如不動) 중에서 뒤의 如는 진여(眞如)이고, 앞의 如는 비유를 나타내는 것이다.
 
화신(化身)이 설법할 때, 유위상(有爲相)을 취하지 않고 진여의 심연으로서 움직이지 않음을 말하는 것이다"라고 하고 있다. 길장도 똑같이, "뒤의 如자는 법성의 如와 같다. 동행자는 마땅히 법성의 如와 같이 하여, 마음에 동념(動念)을 일으키지 말아야 한다하고 설하는 것이다"라고 하고 있다.([금강반야소] 제4권, {대정신수대장경} 33, p.123 下)
 
4. 천인(天人) : 원어 아프사라(Apsara)의 음역. 비천(飛天), 낙천(樂天)이라고도 하는데, 하늘의 유정(有情)들을 가리킨다. 하늘위를 날아다니며 음악을 연주하고 하늘에 꽃을 뿌리기도 하며 지냄으로써, 세간(世間)의 苦를 벗어나 항상 즐거운 경계에 서있지만, 그 복이 다하면 5가지의 괴로움이 생긴다고 하는데 이것을 천인오쇠(天人五衰)라고 한다. 즉

첫째, 화관(花冠)이 저절로 시들고, 둘째 옷에 때가 끼고, 셋째 겨드랑이에 땀이 나고, 넷째 제 처지가 즐겁지 않고, 다섯째 왕녀가 배반한다는 것 등이다. 이러한 천인들을 형상화한 것으로는 경주국립박물관에 있는 봉덕사 성덕대왕신종, 속칭 에밀레종에 새겨져 있는 비천상(飛天象)을 볼 수 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