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강경 解 (일상무상분 9-2)
페이지 정보
본문
須菩提
수보리
수보리
於意云何 斯陀含 能作是念 我得斯陀含果不 須菩提言 不也 世尊 何以故
어의운하 사다함 능작시념 아득사다함과부 수보리언 불야 세존 하이고
斯陀含 名一往來 而實無往來 是名斯陀含
사다함 명일왕래 이실무왕래 시명사다함
『수보리야, 네 생각에 어떠하냐. 사다함(斯多含)이 생각하기를 「내가 사다함의 과위를 얻었노라.」하겠느냐?』 수보리가 대답하였다.
『그렇지 않습니다. 세존이시여, 사다함은 일왕래(一往來)라 하지만 실로는
왕래함의 자취가 없으므로 이름을 사다함(斯多含)이라 하나이다.』
② 사다함(斯多含) : 사크리다가민(Sak d gamin)의 음역. 사크리다가민은 한문으로 일왕래(一往來)로 번역되는 것으로서 "한번 다녀간다"는 뜻이다.
사다함은 성문(聲聞)의 네 지위 중 둘째 과위인데, 이 지위에 오르면 이 인간세상에 한번만 더 왔다 감으로써 열반에 이르러 생사(生死)를 면하게 된다.
수다원은 16가지의 마음으로 삼계에 두루있는 88가지의 견도혹(見道惑)을 끊었지만, 사다함은 여기서 더 나아가 삼계에 널리 퍼져있는 수도혹(修道惑)을 끊는다.
수도혹이란 도를 닦는 과정에서 감정이나 의식의 미세한 작동이 일어나 도를 닦지 못 하게 하는 번뇌이다. 앞서 말한 견도혹이 후천적인 악습(惡習)이라고 한다면, 수도혹은 선천적인 악습(惡習)이다.
수도혹은 욕계의 탐(貪)·진(瞋)·치(痴)·만(慢)과 색계, 무색계 각각의 탐(貪)·치(痴)·만(慢), 즉 총 10가지로 주성분을 이루고 있는데, 너무나 세밀하여 그대로는 끊기가 어려우므로 욕계에 속해 있는 네가지 번뇌(四惑)를 일률적으로 아홉등분하여 차츰 차츰 끊으니, 이를 욕계의 구품수혹(九品修惑) 또는 사혹(思惑)이라 한다. 사다함은 이 구품 중 육품까지를 6生에 걸쳐 끊는다.
구품수혹이란, 상상품(上上品)·상중품(上中品)·상하품(上下品)·중상품(中上品)·중중품(中中品)·중하품(中下品)·하상품(下上品)·하중품(下中品)· 하하품(下下品)을 말하는데, 먼저 상상품을 끊기 위해서는 二生 즉 두차례 태어나야 하고 다시 상중품, 상하품, 중상품을 끊기 위해서는 각각 一生씩이 요구되며,
중중품·중하품을 끊기 위해서는 이 둘을 합쳐서 一生이 요구되고, 나머지 하상품·하중품·하하품을 끊기 위해서도 역시 또 한 生이 요구된다. 사다함은 6生에 걸쳐 6품까지를 끊은 성문이므로 나머지 3품을 끊기 위해 한 生만 걸치면 된다. 따라서 이로 인해 사다함을 일왕래(一往來), 즉 "한번 다녀간다"고 하는 것이다.
- 이전글금강경 解(일상무상분 9-3) 13.11.07
- 다음글금강경 解(일상무상분9-1) 13.11.07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