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강경 해(대승종정분3-4)
페이지 정보
본문
佛告須菩提 諸菩薩摩訶薩 應如是降伏其心 所有一切衆生之類 若卵生
불고수보리 제보살마하살 응여시항복기심 소유일체중생지류 약란생
불고수보리 제보살마하살 응여시항복기심 소유일체중생지류 약란생
若胎生 若濕生 若化生 若有色 若無色 若有想 若無想 若非有想非無想
약태생 약습생 약화생 약유색 약무색 약유상 약무상 약비유상비무상
我皆令入無餘涅槃 而滅度之 如是滅度無量無數無邊衆生 實無衆生
아개영입무여열반 이멸도지 여시멸도무량무수무변중생 실무중생
得滅度者 何以故 須菩提 若菩薩 有我相 人相 衆生相 壽者相 卽非菩薩
득멸도자 하이고 수보리 약보살 유아상 인상 중생상 수자상 즉비보살
부처님이 수보리에게 말씀하셨다.
『모든 보살마하살(菩薩摩訶薩)이 응당 이렇게 그 마음을 항복시켜야 되나니, 이른바 세상에 있는 온갖 중생(衆生)의 무리인 난생(卵生)·태생(胎生)·습생(濕生)·화생(化生)의 사생(四生)과 유색·무색(有色無色:형상이 있고, 없는것), 유상·무상(有想無想:생각이 있고, 없는 것), 비유상·비무상(非有想 非無想)을 내가 모두 제도하여 무여열반(無餘涅槃)에 들도록 제도 할 것이다.
이렇게 한량없고 끝없는 중생을 제도했으나 실제로는 한 중생도 제도를 받은 이가없느니라. 무슨 까닭이겠는가, 수보리야,만일 어떤 보살이 아상(我相)·인상(人相)·중생상(衆生相)·수자상(壽者相)이 있으면이는 보살이 아니기 때문이니라.』
⑪ 아상(我相) : 아상(我相)· 인상(人相)· 중생상(衆生相)· 수자상(壽者相)의 네개를 아인사상(我人四相) 또는 사상(四相)이라 하는데, 이것은 중생들이 범하기 쉬운 집착상을 경계하는 말이다.
아상은 '나'라는 相에 집착하는 것을 말한다. 오온(五蘊)이 가합하여 이루어진 가변의 존재인 자기 자신을 마치 무슨 실재가 있고 또 "내가 있다"고 그릇되게 생각하는 견해이다.
⑫ 인상(人相) : 아상처럼 집착하는 모습의 하나인데, '남'을 의식하는 데에서 오는 행동과 생각을 말한다.
우리는 사람이므로 지옥취(地獄趣)나 축생취(畜生趣)와는 다르다고 집착하여 소나 개같은 짐승이나, 성인과 범부 등의 상대방과 비교하여 차별의식, 경멸감·열등감 등을 느낌으로써 일어나는 대립적 행동이나 생각의 현상을 말한다.
사람은 만물의 영장이라고 생각하고 육식(肉食)을 하는 것은, 짐승인 다른 중생을 나보다 열등하다고 보는데서 오는 人相이라고 할 수 있다.
⑬ 중생상(衆生相) : 괴로운 것을 싫어하고 즐거운 것을 탐내는 등 현실주의적인 행동이나 상념의 집착을 규정하는 말인데, 중생들이 그릇된 의미에서 "나의 몸은 오온(五蘊)이 가합되어서 생겨난 것"이라는 아집에 집착하여 그릇된 생각에 빠지는 오류를 말한다.
⑬ 중생상(衆生相) : 괴로운 것을 싫어하고 즐거운 것을 탐내는 등 현실주의적인 행동이나 상념의 집착을 규정하는 말인데, 중생들이 그릇된 의미에서 "나의 몸은 오온(五蘊)이 가합되어서 생겨난 것"이라는 아집에 집착하여 그릇된 생각에 빠지는 오류를 말한다.
⑭ 수자상(壽者相) : 인간은 선천적으로 길든 짧든간에 일정한 수명을 하늘에서 받아 그 수명대로 살고 있다는 생각의 집착을 말한다.
자은(慈恩)대사의 찬술(贊述)에서는, "세친의 <아(我)라는 것은 일괄하여 삼세오온(三世五蘊)의 차별을 관하는 집착이고, 과거의 我가 서로 계속하여 현재에 이르기까지 끊이지 않고 오는 것을 중생상이라 이름하며, 현재의 명근(命根)이 끊이지 않고 住한다고 보는 것을 명자상(命者相)이라 이름하며, 명근이 과거에 단멸하여 뒤에 육도(六道)에 태어난다고 보는 것을 수자상(壽者相)이라 한다>라는 말을 들어 명자상은 人相을 말한다고"도 해석하고 있다.
({대정신수대장경} 33, P.131 中) '주해'도 또한 이것에 근거하고 있다.({대정신수대장경} 33, p.229 中) 이 사상(四相)을 독일의 학자인 발레저(M.Walleser)는 각각 "Ergreifen eines Selbstes, Ergreifen eines Lebewesens, Ergreifen eines Lebenden, Ergreifen einer Person 또는 Begriff von Person"(즉 자기라는 존재에 사로잡히는 것, 생물적 존재에 사로잡히는 것, 살아있다는 것에 사로잡히는 것, 사람에 사로잡히는 것 또는 사람이라는 관념에 사로잡히는 것)이라고 번역하고 있다.(M.Walleeser, Die Vollkommenheit der Erkenntnispark, {인식의 완성})
- 이전글금강경 해 (묘행무주분 4-1) 13.10.15
- 다음글금강경 解(대승종정분3-3) 13.10.13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