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강경 解 (일체통관분18-2)
페이지 정보
본문
須菩提 於意云何
수보리 어의운하
수보리 어의운하
如恒河中所有沙 佛說是沙不 如是 世尊 如來說是沙 須菩提 於意云何
여항하중소유사 불설시다부 여시 세존 여래설시사 수보리 어의운하
如一恒河中所有沙 有如是沙等恒河 是諸恒河所有沙數 佛世界 如是
여일항하중소유사 유여시사등항하 시제항하소유사수 불세계 여시
寧爲多不 甚多 世尊 佛告須菩提 爾所國土中 所有衆生 若干種心 如來悉知
영위다부 심다 세존 불고수보리 이소국토중 소유중생 약간종심 여래실지
何以故 如來說諸心 皆爲非心 是名爲心 所以者何 須菩提
하이고 여래설제심 개위비심 시명위심 소이자하 수보리
過去心不可得 現在心不可得 未來心不可得
과거심불가득 현재심불가득 미래심불가득
수보리야, 너는 어떻게 생각하는냐. 저 항하(恒河)에 있는 모래를 부처가 모래라 말하느냐?』 『그러하나이다. 세존이시여, 여래께서 모래라고 말씀하셨나이다.』
『수보리야, 너는 어떻게 생각하는냐. 저 한 항하에 있는 많은 모래 수효와 같이 그렇게 많은 항하가 있고, 이 모든 항하에 있는 모래 수효와 같은 수의 불세계(佛世界)가 있다면 이런 불세계는 많다고 하지 않겠느냐 』『엄청나게 많나이다. 세존이시여.』
부처님께서 수보리에게 말씀하셨다.
『그렇게 많은 세계에 있는 모든 중생들의 갖가지 마음을 여래가 다 아노니 왜냐 하면 여래가 말씀한 모든 마음은 모두가 마음이 아니기에, 이를 마음이라 이름 할 뿐이기 때문이니라. 그 까닭이 무엇이겠는가? 수보리야, 과거의 마음도 찾(잡)을 수 없고 현재의 마음도 찾(잡)을 수 없고 미래의 마음도 찾(잡)을 수 없기 때문이니라.』
⑥오안(五眼) : 육안(肉眼)·천안(天眼)·혜안(慧眼)·법안(法眼)·불안(佛眼)의 다섯가지를 말한다.
오안(五眼)에 대해서 {대지도론} 제3권에서는, <대품반야경> 초품(初品)의 "보살 마하살이 오안을 얻고자 한다면 마땅히 반야바라밀을 배워야 한다"를 해석하여 다음과 같이 말하고 있다. 즉 "무엇인가 다섯 가지가 있는데, 육안과 천안과 혜안과 법안과 불안이다.
육안은 가까운 것은 보고 먼 것은 보지 못 하며, 앞은 보고 뒤는 보지 못 하며, 밖은 보고 안은 보지 못 하며, 낮에는 보고 밤에는 보지 못 하며, 위는 보고 아래는 보지 못 한다. 이러한 장애 때문에 천안을 구한다.
천안을 얻으면 멀고 가까운 것을 모두 보며, 전후·내외·주야·상하를 남김없이 본다. 이 천안은 화합인연생(和合因緣生)의 가명(暇名)의 물(物)은 보지만 실상은 보지 못 한다. 즉 공(空)·무상(無相)·무작(無作)·무생(無生)·무멸(無滅) 등을 보지 못 한다. 앞에서처럼 뒤도 또 그러하다. 그리하여 실상을 보지 못 하기 때문에 혜안을 구한다.
혜안을 얻으면 중생을 보지 못하고, 일이(一異)의 상을 멸하고, 모든 집착을 사리(捨離)하여 일체법을 얻지 못하는 바가 없으며 지혜가 안으로 멸한다. 이것을 혜안이라 이름한다. 단 혜안은 중생을 제도할 수 없다. 왜냐하면 분별하는 바가 없기 때문이다. 이로 인하여 법안을 구한다.
법안은 이러한 사람에게는 이러한 법을 행하여 이러한 도를 얻게 하는 즉, 일체중생 각각의 방편문을 알아 도증(道證)을 얻게 한다. 그러나 법안은 두루 중생을 제도하는 방편도를 알 수 없다. 이 때문에 불안을 구한다.
불안은 사(事)로써 알지 못하는 것이 없고, 가려진 장애가 은밀하다 하더라도 견지(見知)하지 못하는 바가 없다.
『 다른 사람에게 있어서는 아주 먼 것도 부처님에게는 아주 가까우며, 다른 사람에게는 유암(幽闇)인 것도 부처님에게는 현명하며, 다른 사람에게는 의심스러운 것도 부처님에게는 결정적이며, 다른 사람에게는 미세한 것도 부처님에게는 미세하지 않으며, 다른 사람에게는 심심(甚深)한 것도 부처님에게는 심천(甚淺)하다』
『이 불안은 事로써 듣지 못하는 바가 없으며, 사로써 보지 못하는 바가 없으며, 사로써 알지 못하는 바가 없으며, 사로써 어려운 것이 없다. 사유하는 바가 없지만, 일체법 가운데서 항상 불안은 밝게 빛난다』후품(後品)의 오안에 관한 의미 중에서 마땅히 널리 설해야 한다."라고 해설하고 있는 것이다.({대정신수대장경} 25, pp.305 306)
⑦여래는 모든 마음을 다 마음이 아니라고 말하고, 다만 이를 이름하여 마음이라 하기 때문이니라(如來說諸心皆爲非心 是名爲心) : 마음이란 색(色)·성(聲)·향(香)·미(味)·촉(觸)·법(法) 등 육진(六塵)의 작용이다. 그러므로 그것은 다 허망한 것이라 할 수 있다. 세존은 과거의 마음은 포착할 수가 없고, 현재의 마음도 역시 포착할 수가 없으므로, 모든 마음을 다 "마음이 아니다"(非心)라고 하고 다만 그것을 "이름하여 마음이라 할 수 있는 것" 뿐이라고 하신 것이다.
이 분절(分節)을 {금강경오가해}에서 육조대사는 다음과 같이 풀이하고 있다. 즉 "모든 사람이 다 오안을 가지고 있는데, 마음이 미(謎)하여 가리워져 있기 때문에 사물의 실상을 볼 수 없을 따름이다.
부처님께서는 이 미(謎)한 마음을 제거하면 곧 오안이 두루 밝아지므로, 육바라밀을 닦아 실천하라고 설하셨던 것이다.
『 미(謎)한 마음을 천 번 벗기는 것은 육안이요, 모든 일체 중생이 다 불성이 있음을 보고 가련한 마음을 내는 것은 천안이고, 어리석은 마음을 내지 않는 것이 혜안이고, 법에 집착하는 마음을 없애는 것이 법안이며, 아주 미세한 업장, 미혹까지 완전히 다 없어져서 밝게 두루 비추게 되는 것을 불안이라 한다.
또 육신 가운데서 법신이 있음을 볼 수 있는 것이 육안이고, 일체 중생이 반야성품(般若性品)을 가지고 있는 것을 보는 것이 천안이고, 반야바라밀이 능히 삼세(三世)의 일체법에 뛰어났음을 보는 것이 혜안이며, 일체의 불법이 스스로 다 구비했음을 보는 것이 법안이고, 모든 법의 진성(眞性)을 밝게 비춰보아 주관·객관이 영원히 제거됨을 보는 것이 불안이다』
- 이전글금강경 解 (법계통화분19-1) 14.07.06
- 다음글금강경 解 (일체통관분18-1) 14.07.06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