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향훈수(戒香薰修 ) > 사찰구조와 불자예절

淸淨法身 비로자나불 華嚴敎의 本尊

(사)대한불교원융종
불교교리 사찰구조와 불자예절

사찰구조와 불자예절

계향훈수(戒香薰修 )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원산
댓글 0건 조회 1,599회 작성일 13-11-04 20:07

본문

글쓴이: 실론섬
 
계향훈수(戒香薰修) 란 계율의 향기가 몸에 베어 그 사람의 덕의 향기가 사방으로 번져 가는 것을 말한다.
 
훈수(薰修)는 훈습(薰習) 이라고도 쓴다. 그 몸에 스며드러 떨어지지 않게 된 상태를 가르킨다. 붓다에 의해서 불교가 창시된 이래로 세간사이든 출세간이든 오계.팔계.십계등의 계율을 지키는 것이 불교도의 생활 신조로 중시되어 왔다. 이를테면 5계의 첫조항인 不殺生戒(불살생계)의 경우는 [생명있는 것을 죽이는 일에서 떠나는] 사항을 일생 지키겠다고 맹세하고 그것을 되풀이해서 마음에 새겨갈 때 생물을 해치지 않는 일종의 잠재세력이 그의 몸에 생겨나 어떤 피치못할 환경에 처하여 생명을 해치고자 손이 움직여도 계율의 잠재력이 들어 올렸던 손을 내리게 만든다. 이런 상태에 이른 것을 가르켜 불살생계를 지키고 있다고 말할 수 있는 것이다.
 
계율의 원어는 팔리어로 sila 라고 하는 바, 본래는 [습관]이라는 뜻이다. 대승불교가 중국으로 건너오면서 오계나 칠불동계게등이 원문과 달리 명령문등으로 해석해서 일반적으로 폐악수선(廢惡修善)의 계율을 설하는 가르침이라고 생각하는 경향도 있다. 그러나 팔리어 원문에 비추어 보면 그것이 약간은 본래의 뜻과는 다르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왜냐하면 칠불통계게를 한문으로 번역하고 해석할 때에는 "악을 하지말라, 선을 실행하라..." 는 따위의 명령문으로 밖에는 해석이 되지 않지만 실제 팔리어 원문은 "악을 행하지 말고, 선을 실행하고, 자기의 마음을 닦아라...이것이 모든 부처님들의 가르침이다.."라고 명령문과는 뉘앙스가 다르게 되어 있다. 즉 불교에 있어서 계율이란 타율적인 것이 아니라, 계율을 스스로 적극 지켜 나간다는 자율적인 성격이 강한 것임을 팔리어 원문을 보면 분명하게 알 수 있다.
 
따라서 계율이 완전히 몸에 배는 수양이야말로 마음을 청정하게 해가는 길이 되는 것이다. 프랑스의 샤넬 NO.5 이라고 하면 값비싸고 향이 좋은 향수의 하나로 정평이 나 있다. 그러나 그 향기는 언젠가는 없어지는 것이다. 이에 비해 계율의 향기에 젖은 사람은 언제까지나 그 아리따운 향기를 유지하며, 더욱 그 향기가  사방팔방으로 번져 가서 덕이 높은 사람이라는 칭송을 받게 된다. 한번 자기 것으로 만든 계율의 향기는 어떤 향기보다도 아름답고 더욱이 영원히 지속되어 소멸함이 없을 것임을 [계향훈수]라는 말씀은 우리에게 가르쳐 주고 있다.
 
훈수(薰修) 나 계(戒) 와 관련하여 수행(修行) 이라는 말의 의미를 생각해 보자. 수행에 해당하는 원어의 하나에 "부하바나"가 있다. 이는 되풀이 해서 자기 것으로 만든다는 뜻이다. 다시 말하면 즉석에서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오랜 시간을 통해 그 본질을 체득해 가는 일이다.
 
계율이든 수행이든 적극적으로 그리고 주체적으로 그 실천덕목을 되풀이해 체득해 가는 노력을 그 내용으로 삼고 있다. 이것이 불교의 실천도덕의 특징임을 알아야 할 것이다.
 
 
 
실론섬
 
 이곳에 오시는 모든 분들께서 필히 초기불교 공부방에 올려져 있는 글들을 읽어 보시라고 권하고 있습니다. 붓다의 원음에 대해서 그리고 불교란 무엇인가라는 것에 대해서 새로운 시각을 갖게 될 것으로 믿기 때문 입니다. 제가 몇년전에 처음으로 초기불교를 인터넷에서 널리 알릴때 가장 논쟁을 심하게 했던 것이 기복불교와 불교의 윤리 문제 였습니다. 윤회를 불교의 도덕윤리교과서라고 하고 "윤회는 도덕적 인과율" 이라는 말을 하고 오계나 팔계등을 예를 들면서 불교의 윤리성을 설명했더니만... 어떤 분은 불교경전이 도덕교과서냐고 저를 공격 하더군요.
 
 불교가 내포하고 있고 붓다가 중생들이 안락하고 행복하고 안녕하게 살기를 바라면서 가르켜 주신 도덕/윤리를 모르면 그것은 절름발이 불교라고 봐도 무방할 것 입니다. 오계는 결코 화두도 아니고 깨달음을 얻는 지름길도 아닙니다. 하지만 불교가 그토록 오계를 강조하는 것은 그것이 인간으로써 살아가는데 지켜야 할 절대적인 윤리도덕의 기준이기 때문 입니다. 중생들의 일상의 삶과 괴리되어 있고 無와 空을 제대로 구분도 못하면서 허공에 헛기침 하는 불교의 가르침은 세상 어디에도 없습니다.  
 
일상의 삶, 똥누고 배아프고 욕심 부리고 싸우고 으르렁 거리는 이 세간사속에 붓다의 원음이 있고 진리가 있음을 깨달으면 붓다의 가르침이 새롭게 들릴 것으로 확신 합니다. 80의 나이에 설사병을 얻으시고 고통스러워 하셨고 그리고 늙으신 몸을 이끌고 반열반에 드실 장소로 맨발로 걸어가신 붓다가 중생들을 위해서 남겨놓은 원음이 이곳에는 많이 있습니다. 두고 두고 찬찬이 읽어 보시고... 그리고 우리 아이들에게는 더이상 잘못된 불교를 가르쳐 주질 않기를 합장 합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