見性成佛 (견성성불) > 사찰구조와 불자예절

淸淨法身 비로자나불 華嚴敎의 本尊

(사)대한불교원융종
불교교리 사찰구조와 불자예절

사찰구조와 불자예절

見性成佛 (견성성불)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원산
댓글 0건 조회 2,373회 작성일 14-12-27 17:07

본문

북방불교가 만들어 낸 희대의 코메디 중 하나가 바로 견성이라는 개념이다.
대단히 힌두적이면서도 불교를 대표하는 개념으로 자리잡고 있는 용어이기도 하다.
견성은 자신의 진실한 성품을 본다는 것이며, 그러므로 견성성불이란 자신의 진실한 성품을 봄으로써 부처가 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말 자체는 일견 타당해 보이지만 그러나 그 말의 상세 설명 속으로 들어가면 요지경이다.
인연연기의 인과에 사로잡힌 자신의 망념들로부터 벗어나서 인연연기를 이루는 실체의 성품을 관한다는 설명이다.
실체를 설명하기 위해 불성, 본래면목, 진아, 참 나, 공 등, 별의 별 개념들이 동원된다.
결국 아뜨만을 견성함으로써 우주의 브라만에 일체하자는 힌두의 주장과 조금도 다름이 없다.

이미 여러 번 반복하지만, 불교에서 ‘본다’라는 개념을 함부로 사용하는 것은 위험하다.
본다는 말은 주체와 객체를 분리하는 개념이기 때문이다.
붓다께서 유일하게 보라고 한 것은 ‘연기를 보라’는 말씀이다.
연기를 보라는 것은 주체와 객체의 구분을 짓지 말라는 말씀이다.
즉, 현상을 장면 전체로서 이해하고, 그 장면이 ‘존재하고 있는 것’이 아니라 ‘발생하고 있는 것’임을 알라는 말씀인 것이다.

‘연기를 보라’는 붓다의 말씀은 북방불교에서 만물의 절대 본질을 보라는 견성으로 탈바꿈하였다.
현상은 의식의 망념이 만든 헛된 상이고 참된 실체는 현상을 만들고 있는 불성 혹은 공 혹은 진아(眞我)라는 주장이다.
그러나 가유(假有)와 실유를 대비하여 실유(實有)를 보라는 견성이란 얼마나 비불교적인 것인가.
실유를 보는 자는 대칭성의 원리에 의해 그 자신도 실유가 된다.
이는 결국 아뜨만적 개아(個我)를 원리로 하는 힌두와 하등의 다를 바가 없는 것이고 만다. 
 
불교에서 부처의 성품은 연기이다.
고집멸도 또한 실체가 따로 없는 연기라는 것을 반야심경은 설파하고 있다.
견성이 연기를 보라는 뜻이었다면 이는 붓다의 말씀을 왜곡하지 않는 바른 표현이다.
그러나 시중에 나가보라.
견성이 어떤 용도로 쓰여지는지를.
언어와 생각이 끊어진 자리, 그래서 말로 설명할 수 없는 공의 실체 자리, 나의 참된 자리를 찾는 것이 견성이라는 설명들이다.
자리라는 것은 공간적 처소를 의미한다.
그러므로 실체 자리라는 것은 실체를 공간적으로 존재화시키고 있는 망상에 다르지 않다.
 
앞의 글에서 논의하였듯이, 실체의 존재화는 불법에서 절대 금해야 할 개념들이다.
공을 만들어서 실체의 개념을 깨려 하면 사람들은 그 공을 절대적 실체의 존재를 비유하는 표현으로 또 왜곡하고 만다.
붓다가 왜 제법이 무아라 하시고 연기 외에 따로 설한 법이 단 하나도 없다고 하셨겠는가?
공(空) 사상을 체계화한 용수보살도 열반은 세간과 털끝만큼의 차이도 없다고 하셨다.
만일 공이 세간과는 다른 실체적 공이라면 용수보살이 어찌 열반과 세간이 다름이 없다고 하셨겠는가? 
불제자라면 모름지기 알아야 할 것이다.
화엄 연기야말로 바로 부처의 성품이라는 것을. 
만일 견성이 연기를 보라는 말씀이었다면 굳이 견성이라고 따로 말을 만들 필요가 없다.
설명하지도 못할 애매한 용어를 만들고 그 말을 신비화시키는 것이야말로 힌두에 빠진 것이라 할만하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