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엄신장 > 불자신행생활

淸淨法身 비로자나불 華嚴敎의 本尊

(사)대한불교원융종
불교교리 불자신행생활

불자신행생활

화엄신장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관리자
댓글 0건 조회 1,807회 작성일 17-03-12 21:22

본문

화엄신장(華嚴神將)

 부처님께서 성도(成道)후 보리수 밑에서 설법(說法)한 내용을 결집한 경전이 화엄경(華嚴經)이며 이 화엄경을 호지하고 불법(佛法)을 받들고 옹호하는 신중(神衆)을 말한다. 신중은 부처님의 설법을 듣고 따르는 사람들로서, 불교를 지키고 배우는 자들에 대한 통칭이다. 대개 불경의 첫머리에 나오는 설법장의 청중들인데, 화엄경에는 7,000여명의 보살이 그 소임을 맡고 있다. 그들은 지상(地上)과 천상(天上)을 오가며 화엄경의 이상을 펼치는데, 이것은 대승불교의 문학적 상징성을 대변하고 있다. , 세계의 중심을 비로자나불(毘盧遮那佛)로 대변하고, 그 깨달음이 으로 상징된다. 신중들은 깨달음을 본질로 한 삼라만상을 나타낸다. 그것을 일조생맹(日照生盲)이라고 하는데, 빛의 고마움을 모르는 장님들에게도 빛은 어김없이 비친다는 은유(隱喩)이다.

 우리나라에서는 이 화엄신중을 구체화시켜 신봉하였는데, 그 대표적 실례가 오대산(五臺山)의 화엄예참(華嚴禮懺)이다. 오대산에는 5만의 진신(眞身)이 상주하며, 그 진신은 36가지로 변화한다고 믿었다. 이 신행은 8세기 후반에 이르면 확고한 신라불교의 주류로서 등장한다.

 그것은 신라 불국토설과 밀접한 관련을 지니며, 그 중앙에 있는 화엄신중의 중요성은 가장 두드러지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이러한 화엄성중들은 개별적으로 신앙되는 것이 아니라 한 무리로써 함께 신앙의 대상이 된다. 화엄성중들은 부처님께 귀의하여 부처님과 도량과 불법을 수호하고, 이를 믿고 따르는 사부대중을 보호하는 선신의 대명사가 되었다. 우리가 음력 초하루부터 3일간 절에서 신중기도를 올리는데, 이는 매월 초 불보살과 호법선신들께 예불공양을 드림으로써 한 달을 잘 열어가려는 신심(信心)의 발로이다.

 사시예불 때 보면 상단(佛壇)에 올렸던 마지()공양을 신중단에 옮겨 올리고 신중단을 향하여 반야심경을 봉독하면서 사시예불을 마치는 데 이를 퇴공(退供)이라고 한다.

 신중들이 퇴공을 받는 이유는 부처님과 보살들이 먼저 공양을 드신 후 그 물려받은 것으로 공양을 하겠다는 서원을 세웠기 때문이다.

. 화엄(華嚴)신중 104

 신중(神衆)은 석존께서 정각을 이루신 후 성도를 축하하고, 석존의 설법을 수지(受持), 호법(護法)을 서원한 호법선신(護法善神) 혹은 호법성중(護法聖衆)으로 칭한다.

 도량에 법석(法席)을 마련하고 성중(聖衆)을 청하여 모시는 까닭은 원하는바 불사가 원만히 성취될 수 있도록 도움을 청하는 것이다. 성중의 본원(本願)이 불법의 수지와 호법이므로 재자(齋者)들의 간청에 응하여 원근을 불문하고 운집하여 원하는바 불사가 원만히 성취되도록 돕는다.

 104위 화엄 신중은 가장 많은 신중을 표현한 것으로, 조선시대에 이르러 신중신앙에 민간신앙이 강하게 결합되면서 화엄경 약찬게(華嚴經略纂偈)에 있는 39위의 신중에 더 많은 신들이 보태진 것이다. 현재 조성되어지는 104위 신중의 명칭과 성격을 석문의범에서는 상단, 중단, 하단으로 나누어 다음과 같이 기록하고 있다.

 1) 상단(上壇) : 23: 일성(一聖)금강회상의 석가여래의 화현인 대예적금강성자(大穢蹟金剛聖子, 예적명왕 또는 오추슬마)와 주문(呪文)을 호지하고 불법을 수호하는 8금강(金剛)과 동서남북 사방을 지키는 4보살(菩薩) 그리고 여래께서 제도하기 어려운 중생을 제도하기 위해 분노하는 모습을 나타낸 10대 명왕(明王)들이 있다.

 팔대금강과 4보살은 대승불교 후반기의 밀교(密敎)의 경전들에서 나오는 금강과 보살들로 초기 경전과 초기 대승경전에서도 보기 어렵다.

 2) 중단(中壇) : 38: 대범천왕과 제석천왕, 그리고 사대천왕, 일월천자, 금강밀적, 위태천 등의 천신과 사가라용왕, 염라대왕, 자미대제, 북두칠원성군을 비롯하여 팔부신중들이 자리 잡고 있다. 원시불교의 호법신과 성군(星君) 등 중국 도교의 신들이 주류를 이룬다.

 3) 하단(下壇) : 43: 옹호회상(擁護會上, 하단)의 호계(護戒)대신, 복덕대신, 토지신, 도량신, 가람(伽藍), 조왕(竈王), 산신, 수신, 화신, 금신, 목신, 토신 등으로 이루어져있다.

 인도와 한국의 토속신이 함께 표현되는 다양한 성격의 신들이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