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연기 무엇인가요? > 불자란 무엇인가?

淸淨法身 비로자나불 華嚴敎의 本尊

(사)대한불교원융종
불교교리 불자란 무엇인가?

불자란 무엇인가?

12연기 무엇인가요?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원산
댓글 0건 조회 1,899회 작성일 15-01-04 19:02

본문

12연기(十二緣起)를
12인연(十二因緣)이라고도 하는데
연기(緣起)란 우주의 모든 현상이 다
인연에 의해 일어난다는 뜻입니다.
 
《잡아함경》에 '이것이 있으므로 저것이 있고,
이것이 일어나므로 저것이 일어난다'라고
말씀한 바와 같이 연기설은 모든 사물은
서로 의지하고 서로 도움으로써 성립됨을 밝힌 것입니다.
이것을 12가지로 나누어서 설명하였으므로
12연기라고 합니다.
 
모든 사물의 실상에 대한 알음알이를
불교에서는 지혜(智慧)라고 부릅니다.
특히 법칙성(法則性)에 대한 알음을
'명(明)'이라고 부르는데,
밝힌다는 뜻도 가지고 있습니다.
이 명(明)과 반대되는 개념을 '무명(無明)'이라고 하는데,
이런 무명이 사람에게 있게 되면
이것을 연(緣)하여 행(行)이 있게 되고,
행을 연하여 식(識)이 있게되고,
식을 연하여 명색(名色)이 있게 되고,
명색을 연하여 육처(六處)가 있게 되고,
육처를 연하여 촉(觸)이 있게 되고,
촉을 연하여 수(受)가 있게 되고,
수를 연하여 애(愛)가 있게 되고,
애를 연하여 취(取)가 있게 되고,
취를 연하여 유(有)가 있게 되고,
유를 연하여 생(生)이 있게 되고,
생을 연하여 노사(老死)가 있게 된다고 하는
가르침이 12연기설입니다.
 
따라서 이러한 죽음이 있게 되는 형성과정을
열두 단계로 자세하게 분석해서 보여주고 있는데,
한마디로 요약하면, 명(明)이 없는 사람에게는
죽음의 괴로움이 있게 된다는 뜻입니다.
 
'무명'은 명이 아닌 것[非明],
또는 명이 없는 것[無明]의 두 가지로 해석되는데,
實在(실재)아닌 것 또는 실재성이 없는 것을
자기의 실체로 착각한 망상입니다.

주어진 존재의 일시적인 형체를 영원한 것으로
착각된 진리에 대한 무지라 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무명이 있으면 그것은 緣(연)하여
'行(행)'이 있게 된다는 것인데,

행은 '결합하는 작용'이라는 뜻을 가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무명에 의해 집착된 대상을
실제화 하려는 작용이라고 말할 수가 있습니다.
 
불교학자 중에서 그 말을
'형성작용' 이라고 번역하는 이가 있는데,
어쨌든 인간 존재를 유지하고 있는 가장 근원적이고
힘든 자기 형성의 업(業)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행에 의해 개체가 형성되면,
그곳에 식(識)이 발생한다고 합니다.
식은 불교에 쓰이는 중요한 술어중의 하나인데,
'식별(識別)한다'는 뜻을 가진 말로써
개체(個體)가 형성되자 그곳에 분별하는
인식(認識)이 발생한 것으로 볼 수가 있겠습니다.
 
식을 연하여 '명색(名色)'이 일어나는데
색(色)은 물질적인 것은 가리키고,
명(明)은 비물질적인 것을 말합니다.
따라서 명색의 발생은 물질적인 것과
비물질적인 것이 결합된 상태를 가리킨다고 볼 수 있습니다.
 
이렇게 명색이 있게 되면 그를 연하여,
육처(六處)가 일어납니다.
육처는 여섯 개의 감각기관,
즉 눈·귀·코·혀·몸·의지의 육근(六根)과
정확하게 일치하는 개념으로써,
인간실존의 근저를 이루고 있습니다.
 
육처를 연하여 촉(觸)이 있게 되며,
촉은 '접촉한다'는 뜻을 가지고 있는데,
경전에 의하면 눈·귀·코·혀·몸·의지와
이것에서 발생한 식이 화합한다고 합니다.
 
촉에 연하여 수(受)가 발생합니다.
수는 감수작용(感受作用)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경전에서는 그 내용으로써 괴로움·즐거움,
그리고 괴로움도 아니고 즐거움도 아닌
중간 느낌의 세가지를 들고 있습니다.
수를 연하여 愛가 발생합니다.

이는 끝없는 갈애(渴愛)를 뜻하는데,
세가지느낌 중에서 즐거움의 대상을 추구하는
맹목적인 욕심입니다. 따라서 불교에서는
애를 번뇌 중에서 가장 심한 것으로 보고,
수행에 있어서도 커다란 장애가 된다고 말하고 있습니다.
 
무명은 지혜를 가로막는 장애요,
애는 마음을 더러움에 물들게 하는 가장 큰 번뇌입니다.
취를 연하여 유(有)가 발생하는데,
유라는 말은 생사(生死)하는 존재 그 자체가
형성된 것이라고 보면 됩니다.

경전에서는 유를 욕계(欲界)·색계(色界)·무색계(無色界)의
세가지로 설명하고 있습니다.
이 삼계(三界: 三有)는 생사의 테두리를
벗어나지 못한 것을 뜻합니다.
유에 연하여 생(生)이 발생하는데,
생은 말 그대로 '생(生)한다'는 듯입니다.

유라는 것이 어떤 것인가를 위에서 살폈는데,
유가 그렇게 생사 하는 존재자체의 형성을 뜻한다면,
그것에 연하여 생이 있게 됨은 다시 말할 필요가 없을 것입니다.
 
생이 있으므로 노사(老死)가 있게 됩니다.
이것은 우리 모두가 눈앞에 보는 바지만,
이곳의 생(生)과 사(死)는 육체적 생사만을 뜻하는 것이 아니라,
자기 자신을 태어나고 죽는 존재로 보게 된 꿈 같은
환상과 거기에서 오는 정신적인 괴로움까지를 말합니다.
 
이러한 '12연기상은 불교의 근본적인 세계관으로써,
만유(萬有)의 본체인 자성(自性)은 무명으로 말미암아
12인연으로 변화하여, 과거·현재·미래로 변천하면서
윤회(輪廻)한다는 가르침입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