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함경 "자비구들아 .전도.를떠나라 > 불자란 무엇인가?

淸淨法身 비로자나불 華嚴敎의 本尊

(사)대한불교원융종
불교교리 불자란 무엇인가?

불자란 무엇인가?

아함경 "자비구들아 .전도.를떠나라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원산
댓글 0건 조회 1,512회 작성일 12-07-26 08:30

본문

비구들아, 자, 전도를 떠나라. 많은 사람들의 이익과 행복을 위하여. 세상을 불쌍히 여기고, 인천(人天)의 이익과 행복과 안락을 위하여. 그리고 두 사람이 한 길을 가지 말라. 비구들아, 처음도 좋고 중간도 좋고 끝도 좋으며, 조리와 표현을 갖춘 법(진리, 가르침)을 설하라. 또 원만 무결하고 청정한 범행(梵行)을 설하라. 사람들 중에는 마음에 더러움이 적은 이도 있거니와, 법을 듣지 못한다면 그들도 약에 떨어지고 말리라. 들으면 법을 깨달을 것이 아닌가. 비구들아, 나도 또한 법을 설하기 위해 우루벨라의 세나니가마(將軍村)로 가리라." ([相應部經典] 5:5 係蹄(2). 漢譯同本, [雜阿含經] 39:16 繩索) 

여기에 든 일절은 이른바 붓다의 '전도 선언' 이라고 불리는 대문이다. 그것은 붓다가 아직 미가다야(鹿野苑)에 머물고 있었을 무렵의 일이었다. 붓다의 소문을 듣고 찾아와서 가르침을 받은 끝에 출가하여 제자가 된 사람의 수효가 불어나서 60명에 이르게 되었다. 그래서 붓다는 그들을 전도하러 떠나보냄으로써 이 새로운 진리를 널리 세상에 펴고자 결심했던 것이며, 그리하여 그들을 모아 놓고 타이른 말씀이 이것이었다.

이 '전도 선언'은 세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 첫째 부분은 전도의 정신을 말씀한 대목이다. 거기에 처음으로 "많은 사람들의 이익과 행복을 위하며."라는 말씀이 나온다. 나는 앞에서 재래 불교도들의 상식을 뒤엎고, 붓다가 출가한 동기는 중생 구제를 위해서가 아니라, 오히려 그 자신의 인생 문제를 해결하고자 한 것이라고 말한 바 있다. 물론 붓다의 출가는 결과적으로 많은 사람들을 구제한 셈이 되었던 것이며, 그 혜택은 멀리 오늘의 우리에게까지 미치고 있음이 사실이겠다.
그러나 이것을 근거로 하여 붓다가 출가한 동기가 중생 구제에 있었다고 한다는 것은 결과를 가져다가 동기로 삼는 것이어서, 붓다의 출가의 진상과는 거리가 멀다고 아니할 수 없다. 그리고 아함부의 경전들이 이점에 대해 얼마나 신중한 표현을 취하고 있는지를 주목해야 될 것이다. 거기에서는 출가에 대해서나 수행에 대해서나, 그리고 정각(正覺)이라든지 최초의 설법에 대해서까지도 중생 제도와 결부시키는 것 같은 표현은 전혀 쓰지 않고 있다. 그러다가 이 전도의 선언에 이르러서야 비로소 "많은 사람들의 이익과 행복을 위하여."라는 말이 나오고, 또 "세상을 불쌍히 여기고, 이천(人天)의 이익과 행복과 안락을 위하여."라는 말이 쓰이고 있다. 인천이란 인간계와 천상계의 사람들이라는 정도의 뜻이니, 많은 사람들이라는 말과 함께 중생(衆生), 즉 모든 생물을 가리킨다.

생각건대 붓다가 "많은 사람들의 이익과 행복을 위하여."라고 말씀하기까지의 거리는 매우 멀었다. 그러나 일단 확신을 가지고 전도를 떠나라고 말했을 때, 거기에 나타난 전도의 정신은 일체의 제한을 넘어서 모든 생물에게까지 미치는 것이었다. 다는 "이방인의 길로 가지 말라."고는 하지 않았다. 또 "사마리아인의 고을에도 들어가지 말라."고는 하지 않았다. 오직 모든 세상 사람들을 불쌍히 여기고, 인천(人天)의 이익과 행복과 안락을 위해 가라고 타일렀다. 그것은 참으로 붓다다운 전도의 선언이었다고 생각된다. 그리고 이런 정신을 가장 구체적으로 나타내고 있는 것이, 이 대목의 마지막 말씀 즉 "둘이 한길을 가지 말라."는 구절이다.

내가 이 구절에 특히 주목하게 되는 것은 예수 그리스도의 '전도 선언' 때문이다. 그는 앞에서도 인용했듯이 "이방인의 길로 가지 말고, 사마리아인의 고을에도 들어가지 말고, 차라리 이스라엘 집의 잃어버린 양에게로 가라." (마태복음 10 : 6)고 말했던 것이다. 또 다른 복음에는 열 두 제자를 불러 둘 씩 둘 씩 보내시며 (마가복음 6 : 7)라고 나와 있다. 나는 이것을 그것에 비교하여 하나를 높다 하고 다른 것을 못하다 할 생각은 전혀 없다. 다만 이 둘을 비교함으로써 그 하나만 읽어 가지고는 좀처럼 밝혀지지 않던 뜻이 명확한 형태로 눈앞에 떠오름을 느끼게 하고자 하는 것뿐이다. 예수는 그때 다음과 같은 말도 하고 있다.

"보라, 내가 너희를 보냄이 양을 이리 가운데 보냄과 같도다."
"사람들을 삼가라. 저희가 너희를 공회(公會)에 넘겨주겠고, 저희의 회당에서 채찍질하리라."

그러기에 전도하러 떠나는 제자들에게 "그러므로 너희는 뱀같이 지혜롭고 비둘기같이 순결 하라"고도 가르쳐야 했다. 거기에는 도저히 혼자서는 갈 수 없는 길이 있었다. "둘 씩 둘 씩 보내시며"라는 표현에는 그럴 만한 까닭이 포함되어 있었던 것이겠다.

그리고 이런 것과 비교해 볼 때 "둘이서 한 길을 가지 말라."는 붓다의 말씀의 뜻도 스스로 명백해진다. 여기에는 박해의 예상이란 조금도 없었음이 확실하다. 오직 많은 사람들의 이익과 행복을 위해 가는 것이니까. 또 사람들이 그들을 공회에 넘기고 회당에서 채찍질할 것도 생각되어 있지 않다. 오직 세상 사람들을 불쌍히 여기는 까닭에 이 법은 설해지는 것이니까. 그리고 이런 전도의 정신은 붓다의 전 생애를 일관하여 실현되었을 뿐 아니라, 또 수천 년에 걸친 불교의 역사를 통해 지속되어 왔다고 할 수 있다. 잘 알려져 있는 바와 같이 불교는 오랜 세월에 걸쳐 아시아 대부분의 지역에 전파되었지만, 언제 어디서나 그 전도는 평화와 환영 속에 수행되었고, 불교의 이름 밑에 피를 흘린 역사는 거의 없었다고 하여도 과언이 아니다. 이 모두가 교조 붓다의 정신을 이어받은 것으로 여겨진다.

그리고 붓다의 '전도 선언'에서 둘째 부분을 이루고 있는 것은 설법의 이상적인 양상이 제시된 대목이다. 거기에는 먼저 "처음도 좋고 중간도 좋고 끝도 좋으며"라고 설해져 있다. 이것을 후세의 불교인들은 간략히 '초중종(初中終)의 선(善)'이라고 불렀다. 또 "조리와 표현을 갖추어서 법을 설하라."고 되어 있기에, 이를 '의문 구족(義文具足)'이라고 했다. 그리고 이 밖에도 "원만 무결하고 청정한 수행"을 설하라고 말씀하고 있는데, 이것 또한 예수가 열 두 제자를 떠나보내면서 한 말에 비길 때 흥미진진한 바가 있다.

"가면서 전파하여 말하되, 천국이 가까웠다 하고, 병든 이를 고치며, 죽은 이를 살리며, 문둥이를 깨끗하게 하며, 귀신을 쫓아내라." 

그것이 그들에게 주어진 선교의 임무였다. 또 공회에 넘겨졌을 때는 

"어떻게 또는 무엇을 말할까 염려치 말라. 그때 무슨 말할 것을 주시리니, 말하는 이는 너희가 아니라, 너희 속에서 말씀하시는 이, 곧 너희 아버지의 성령이시니라." 

고 했다. 기독교가 요구하고 있는 것은 신령에 충만하여 신령의 말을 매개하는 일임에 틀림없다. 그러나 붓다는 조리가 정연한 아리따운 변설을 요구하였다. 여기에서도 나는 어느 것이 좋고 어느 것이 나쁘다고 할 뜻은 없으나, 두 성인의 설법에 대한 요구가 크게 대조를 이루고 있는 점에 깊은 흥미를 느끼지 않을 수 없다.

이와 관련하여, 나는 버쳐(Butcher)의 저서 [그리스 정신의 여러 양상(Some Aspects of the Greek Genius)]이 그리스인의 웅변에 대해 언급한 대목을 되새기게 된다. 그들이 토론을 좋아하고 웅변을 사랑했다는 것은 누구나 아는 사실이며, 또 그 웅변이 그들의 합리적인 정신과 예술적인 정신에서 나온 것이라는 것도 자주 이야기되어 왔다. 버처는 그런 사실들을 자세히 서술함과 아울러, 다시 그 청중과 변사에 대해서도 아주 구체적인 소식을 전해 주고 있다.

그 청중들은 마치 음악에라도 홀린 듯이 그 아름다운 말에 도취하였으나, 한편으로는 그 매력 때문에 속는 일이 없기 위해 신중히 경계함을 잊지 않았다. 허점을 찔러 오는 논법에서 자기를 지키고, 궤변을 간파하려고 했다. 이같이 엄격한 청중에 대하여 변사는 십분 경의를 표하지 않을 수 없었으니, 그것은 특히 연설의 끝에 가서 으레 있기 마련인 저 흥분 없는 고요한 어조에 의해 표시되었다. 그것은 근대인이라면 냉철함이라고 받아들일지도 모르는, 겉으로 보기에 점차 나직해 가는 어조였거니와, 그 흥분 없는 고요함이야말로 웅변이 청중의 이성에 대해서 표시하는 일종의 경의임에 틀림없었다. 감정이 아니라 이성을 향해, 그는 마지막 호소를 하는 것이었다.

그것은 호모 사피엔스(homo sapiens)의 본고장인 그리스인으로서 참으로 어울리는 웅변의 양식이었다고 할 수 있겠다. 그런데 붓다가 생각한 이상적인 설법의 양상도 역시 마찬가지로 호모사피엔스의 입장을 취하는 그것이었다. 그것은 노호하고 절규하는 예언자의 그것과는 전혀 다른 방식이었다. 또 신령에 충만하여 권위 있는 듯이 말하는 종교가의 그것도 아니었다. 그리고 격렬한 말을 내 볕아 청중의 감정을 뒤흔들어 놓는 연설 태도와도 전혀 궤를 달리하고 있었다. 그리스인의 웅변이 흥분 없는 고요한 어조로 끝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면, 여기에서도 또한 처음과 중간과 결말을 일관하여 잘 설해질 것이 요구되었고, 또 이론과 내용의 구비와 이성을 가지고 고요히 이성을 향해 호소할 것이 요청되었다. 거기에는 붓다의 사람됨과 그 사람의 성격이 단적으로 나타나 있는 듯이 생각된다.

그것은 그렇다 하고, '전도 선언'의 셋째 부분은 어떤 것인가? 그것은 붓다가 금후의 예정을 말씀한 대목이다.

"나도 또한 법을 설하기 위해 우루베라의 세나니가마로 가리라."

그곳은 붓다가 진리를 깨달은 보리수 근처의 마을이다. 우루베라로부터 바라나시까지 왔던 붓다는 이번에는 다시 우루벨라를 향해 돌아가려 하고 있는 것이다. 생각건대 그 곳은 붓다로서는 가장 추억이 많은 고장이었을 것이다. 그런데도 거기에는 이 새로운 가르침의 씨가 아직 한 알도 뿌려지지 않았다. 먼저 그 마을로 돌아가자. 이렇게 생각했을 붓다의 심정을 나는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