왜 남을 이롭게 하여야 하는가? (利 他 行) > 법어 법문

淸淨法身 비로자나불 華嚴敎의 本尊

(사)대한불교원융종
불교교리 법어 법문

법어 법문

왜 남을 이롭게 하여야 하는가? (利 他 行)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원산
댓글 0건 조회 2,242회 작성일 14-04-04 16:46

본문

"고타마여, 우리는 바라문입니다. 우리는 스스로도 신에게 희생을 바치고 또 다른 사람들도 희생을 바치게 합니다. 고타마여, 이렇게 함으로써 우리자신과 다른 사람들을 다 함께 행복할 수 있게 하는 것입니다.
그러나 고타마여, 당신의 제자들은 가정을 나와 사문이 됨으로써 자기의 일신을 편안히 하고, 자기 일신의 괴로움을 없애려 합니다. 그렇다면 이것은 오직 자기 한 몸의 행복만을 위해 도를 닦는 것이 됩니다. 이것이 출가의 소행이라 생각되는데, 그대는 어찌 여기십니까?"([增支部經典] 3:60 傷가邏. 漢譯同本, [中阿含經] 143 傷歌邏經)
 

그것도 붓다가 기원 정사에 계셨을 때의 일이다. 상가라바라는 바라문이 찾아와서 질문을 했다. 바라문이란 앞에서도 말했듯이 오랜 전통을 이어 오는 사제(司祭)들이므로, 새 사상가인 붓다와 그 제자들에 대해서 얼마쯤 적대 의식을 지니고 있었던 것 같다. 이제 이 바라문이 붓다에게 내놓은 질문에도 힐난하는 듯한 어조가 느껴지는 것이다.
 

그는 말했다. 우리는 신 앞에 제사를 지내고 희생을 드림으로써 자기를 위해서나 남을 위해서나 복이 될 수 있는 길을 닦는다. 그런데 붓다의 제자들이 출가하여 벌이는 행위를 보건대, 결국은 자기를 통제하고, 자기를 편안케 하고, 자기의 고통을 없애려고 마음을 기울이는 것 같다. 그것은 결국 자기 한 사람만을 위하는 길이 아닌가. 이것이 앞에 인용한 바라문의 질문 요지이다. 이렇게 말한 바라문의 마음속에는 많은 사람을 위한 행복의 길이 한 사람을 위하는 그것보다 우월하다는 생각이 박혀 있다. 말하자면 붓다와 그 제자들의 종교를 한 사람만을 위한 것이라고 규정해 버림으로써, 그런 태도를 비난하려는 뜻이 뚜렷하게 드러나고 있는 것 같다.
 

나는 이 바라문의 힐난하는 듯한 질문에 매우 큰 흥미를 느끼게 된다. 왜냐 하면 붓다와 그 제자들의 수행 태도에 대한 이런 의문은 여기에서 낡은 맞수인 이 바라문에 의해 제기된 데 그치지 않고, 마침내는 불교 내부에서도 큰 논쟁을 불러일으키고 말았기 때문이다. 그 논쟁이란 대승(Mahayana)이라고 자처하며 새로운 주장을 내세운 사람들과, 그들에 의해 소승(Hlnayana)이라고 비난받으며 전통의 고수를 주장한 사람들 사이에 장기에 걸쳐서 행해진 이른바 '대승과 소승의 논쟁'이다. 그것은 후일에 이루어진 경전의 표현을 빌리자면 '상구 보리(上求菩提)' 즉 진리를 추구하는 것과 '하화 중생(下化衆生)' 곧 중생을 제도하는 것 중에서 전자를 자리(自利), 후자를 이타(利他)라 하여, 소승은 자리에만 급급하고 후자의 대의를 망각한 무리라고 비난한데서 비롯된 논쟁이었다. 이런 논쟁은 장기간에 걸쳐서 반복되었고, 중국을 통해 과거에 우리가 받아들였던 것은 다름 아닌 대승파의 불교 였기에, 소승이라고 하면 매우 저급한 가르침인 것처럼 착각해 왔던 것도 사실이다. 그러나 그것은 어쨌든 간에 지금 비슷한 내용의 질문이 바라문에 의해 붓다 앞에 제시되었다는 것은 매우 흥미 있는 일이 아닐 수 없다. 그러면 붓다는 이 문제에 대해 어떻게 대답하였던가?
 

"바라문이여, 그러면 그것에 대해 나는 그대에게 물어 보고 싶다. 생각대로 대답하라.
 

바라문이여, 그대는 이것을 어찌 생각하는가? 이 세상에 여래가 나타나서 이와 같이 설한다고 하자.
 

'이것이 도이다. 이것이 실천이다. 나는 이 길을 가고 이 실천을 완성함으로써 번뇌가 소멸되고 해탈을 얻을 수 있었다. 너희도 이리 와서 함께 이 길을 가고 이것을 실천함으로써 번뇌를 없애고 해탈을 얻도록 하라.'
 

이와 같이 여래가 법을 설한 결과, 다른 사람들도 그렇게 수행하여 해탈을 얻은 이가 수백, 수천, 수만에 이르렀다 하면, 바라문이여, 그대는 이것을 어떻다고 하겠는가? 이래도 여전히 출가하는 것은 한 사람을 위한 행복의 길이겠는가, 아니면 많은 사람들을 위한 행복의 길이겠는가?"
 

이렇게 질문 받고 보니, 마침내 바라문도
 

"고타마여, 그렇다면 출가의 행위도 많은 사람들을 행복하게 하려는 길이라 하지 않을 수 없습니다."
 

 라고 대답하지 않을 수 없었다.
 

이 때 옆에서 그 바라문에게 말을 건 사람이 있었다. 그는 붓다의 비서 격인 아난다(阿難)였다. 그는 바라문이 붓다의 반문을 받고 대번에 출가자의 태도가 많은 사람들을 행복하게 하는 길임을 인정하고 만 것을 보고, 좀 우쭐하는 마음이 들었는지 이렇게 바라문을 향해 질문을 던졌다.
 

"바라문이여, 그러면 이 두 가지 길에서 당신은 어느 것이 뛰어나다고 생각하는가?"
 

그 두 가지 길이란 물론 바라문들이 행하는 제사를 주로 하는 신앙과 붓다가 설한 출가 수행의 길이겠지만, 아난다로서는 이 기회에 그 바라문으로 하여금 불교의 우월성을 인정케 하려고 한 것이겠다. 그러나 바라문의 입장이 되고 보면, 그런 고백은 하고 싶지 않았으리라. 그는 다만
 

"고타마와 아난다 같은 이는 참으로 내가 존경하는 바요, 찬탄하는 바요."
 

라고 말함으로써, 아난다의 추궁에서 몸을 사리려 들었다. 아난다는 거듭
 

"바라문이여, 나는 그대가 누구를 존경하고 누구를 찬탄하고 있는가 물은 것은 아니다. 나는 이 두 길 중에서 그대가 어느 것을 우월하다고 생각하는지 그것을 물은 것이다."
 

라고 추궁했으나, 바라문은 여전히 그것을 밝히려 하지 않았다. 그런 응대가 두 사람 사이에 세 번이나 되풀이되는 것을 보고, 붓다가 다시 입을 열었다.
 

"바라문이여, 오늘 왕궁에서 회합이 있은 듯하거니와 무엇이 이야기 되었는가?"
 

화제가 바뀌어서 한숨을 돌린 바라문은 살아났다는 듯이 명랑한 태도로 대답했다.
 

"고타마여, 오늘의 회합에서는 신통의 문제가 화제에 올랐습니다. 옛날에는 사문은 적었어도 뛰어난 신통력을 발휘하는 사람들이 많이 있었는데, 지금은 사문의 수효가 엄청나게 많으면서도 신통력을 가진 사람이 적다는 이야기였습니다."
 

이리하여 좌석의 분위기가 약간 풀리자, 붓다는 그 신통력에 대해 이야기를 시작했다. 신통력이라는 말은 기적의 뜻이어서, 여느 사람으로서는 생각조차 못할 엄청난 능력을 발휘함을 이름이거니와, 그것에는 세 종류가 있다고 붓다는 말문을 열었다. 그 첫째는 신통 신변(神通神變), 둘째는 기설(記設) 신변, 셋째는 교계(敎誡) 신변. 그리고 붓다는 그 하나 하나에 대해 설명을 했다. 그것을 요약해 보면 이렇다.
 

먼저 신통 신변이란 문자 그대로 기적에 해당하는 것이다. 이를테면 공중을 간다든지, 물위를 걷는다든지, 허공에 앉는다든지 하는 기술을 말한다. 그것들은 결국 "환상 비슷한 것으로 여겨진다."는 것이 설명을 듣고 난 바라문의 소감이었다.
 

다음으로 기설 신변이라 함은 예언을 이름이다. 이를테면 점을 쳐서 미래를 예언한다든지, 신의 계시에 따라 닥쳐 올 일을 말한다든지 하는 것이다. 그런 일들도 역시 환상 같은 것이어서 그 당사자에게만 통할뿐이라는 것이 바라문의 감상이었다. 마지막의 교계 신변이란 경전의 표현을 그대로 빌리자면
 

"너희는 이렇게 탐구하라. 이렇게는 탐구하지 말아라. 이렇게 사색하라. 이렇게는 사색하지 말아라. 이것을 끊어라. 그리고 이것을 체득하라."
 

는 식으로 이렇게 가르치는 것이다. 그것은 구태여 신통이니 신변이니 할 필요도 없겠고, 붓다가 평소에 그 제자나 신자를 상대로 살아 온 생활이야말로 바로 그것에 해당한다고 하겠다. 붓다는 그것을 이제 신변 신통이라고 일컬어, 기적, 예언과 어느 쪽이 나은지를 바라문으로 하여금 판단하게 하려고 한 것이다. 이에 대해 그 바라문은
 

"아 고타마여, 나는 마지막 신변을 가장 위대하다고 봅니다. 세 가지 신통력 중에서 가장 뛰어나고 가장 묘하고 희유한 것은 그것입니다."
 

라고 대답했다. 이리하여 그는 그 자리에서 삼귀의를 부르고 붓다에게 귀의했다는 것이 이 경의 결말이다.
 

지금까지 다루어 온 경들에 비길 때 이 경은 꽤 길어서 여기서는 다만 그 뼈대만을 소개한 데 지나지 않지만, 그 요점을 말하자면 대략 세 부분으로 이루어져 있다고 볼 수 있겠다. 그 첫째 부분은 그 바라문의 힐난하는 듯한 질문과 그것에 대한 붓다의 대답이다. 둘째 부분은 아난다와 바라문 사이에 벌어진 문답이며, 셋째 부분은 붓다가 세 가지 신통력에 대해 설명함으로써 그 바라문을 귀의시킨 대목이다. 그리고 그 전체를 일관하는 주제는 결국 붓다의 가르침이 한 사람을 위하는 길인가, 아니면 여러 사람을 위하는 길인가 하는 문제이다.
 

이미 언급한 바와 같이, 이 문제를 둘러싸고 후대에 불교 내부에서 이른바 '대승과 소승의 논쟁'이 벌어진 바 있다. 대승을 자처하는 사람들은 마치 이 바라문처럼 붓다의 가르침에 따라 수도에 전념하는 비구들의 태도를 자기만을 위하는 길이라 하여 비난하고, 이타행의 우월성을 주장했다. 물론 그들이라 해도 붓다 당신을 논란의 대상으로 삼지는 못했다. 그들은 자기들의 비위에 맞도록 경전을 숱하게 만들어 가는 동시에, 아라한트(arahant, pali ; arhat, Skt.) 즉 아라한(阿羅漢)과 성문(聲聞: savaka), 연각(緣覺: pacceka - buddha)을 공격했던 것이다. 아라한이란 번뇌를 끊고 진리를 깨달은 성자이며, 성문이란 붓다의 가르침에 따라 수도하는 사람, 연각이란 붓다의 가르침에 의함이 없이 스스로 깨닫는 사람을 가리키는바, 그들은 자기의 해탈에만 전념할 뿐 다른 사람들을 돌보지 않는다는 것이 대승 쪽의 주장이었다.
 

그러면 붓다의 태도는 어떠했는가? 그것을 놓고 생각할 때 마땅히 상기해야 할 일은 저 보리수 밑에서 붓다가 설법을 결의하게 된 경위와, 아울러 미가다야에서 최초의 설법에 성공한 붓다가 마침내 제자들을 향해
 

"비구들이여, 전도를 떠나라. 많은 사람들의 이익과 행복을 위하여. 세상 사람들을 가엾이 여기고, 인천(人天)의 이익과 행복과 안락을 위하여."
 

라고 말한 이른바 '전도 선언'이겠다. 그 전자에 대해서는 이미 제 3장에서 그 미묘한 경위를 상세하게 서술해 놓았거니와, 그것은 결국 상구 보리의 길이 하화 중생의 길과 다르지 않다는 것을 말해 주고 있다. 보리수 밑에서 정각을 성취하기까지의 붓다는 명백히 자기 문제의 해결을 위해 심신을 바친 사람이었다. 그러나 일단 문제의 해결에 성공하자, 붓다는 뜻하지 않았던 불안을 맛보아야 했다. 오직 자기 혼자 그 진리를 지니고 있기가 어려웠기 때문이다. 아리스토텔레스의 말을 빌리자면 인간은 사회적 동물인 까닭이다.
 

이리하여 붓다는 마음의 한구석에서 "고생 끝에 가까스로 깨달은 것을 어째서 다른 사람들에게 설해야 하는가?"라고 중얼거리면서도 결국은 "나는 이제 감로(甘露)의 문을 여노라."라고 선언하고 일어설 수밖에 없었다. 그렇게 하여 겨우 설법할 결심을 하게 된 붓다는 마침내 전도를 위해서 제자들을 떠나 보내게 되자, 명확히 그 목표를 많은 사람들의 이익과 행복과 안락에 두었고, 또 스스로도 45년에 걸친 긴 생애를 그것을 위해 바쳤던 것이다. 그 덕택으로 수천 수만 명의 사람들이 진리에 눈뜨고 바르게 인생을 살아갈 수 있었던 것이며, 그 혜택은 멀리 오늘에까지 미치고 있는 것이다. 붓다가 그 바라문을 설득하여 그 길이 많은 사람의 행복과 연결되어 있다고 납득시킨 것도 그렇기 때문이었다.
 

그러나 다시 거슬러 올라가, 어째서 그 바라문은 붓다의 길이 한 사람만을 위하는 것이라고 생각했느냐고 한다면, 거기에도 그만한 이유가 있었음이 명백하다. 왜냐 하면 붓다의 가르침에서는 자기의 개안, 자기의 해결, 자기의 확립이 항상 앞서는 까닭이다. 후세 대승파의 말을 빌리자면 상구 보리가 선행하는 것이다. 앞에 나온 '전도선언'에다가 덧붙인다면
 

"비구들이여, 나는 인천(人天) 세계의 모든 구속으로부터 벗어나 자유의 몸이 되었다. 너희도 또한 인천 세계의 모든 구속에서 벗어나 자유로운 몸이 되었다. 비구들이여, 그러므로 전도하기 위해 떠나라. 많은 사람들의 이익과 행복을 위하여."
 

라는 논리가 되겠다. 즉 자기 자신이 선결 문제인 것이다. 자기가 자유를 얻지 못한 주제에 어떻게 남을 자유롭게 하여 줄 수 있으랴. 만약 진리에 눈뜨지도 못한 사람이 남의 손을 잡아 길을 인도하려고 든다면 둘이 다 함정에 빠지고 말 것은 불을 보듯 뻔한 일이다. 이것이 붓다의 논리였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