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불교의 종파 > 법어 법문

淸淨法身 비로자나불 華嚴敎의 本尊

(사)대한불교원융종
불교교리 법어 법문

법어 법문

중국불교의 종파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원산
댓글 0건 조회 3,043회 작성일 14-04-18 15:57

본문

중국 불교의 종파 목록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Dharma Wheel.svg
교의 · 용어
사성제 팔정도 깨달음
삼법인 사법인
오온 윤회 열반 수행
연기 중도 선정 반야
마음 마음작용 진여 법성
유식 여래장
인물
석가 십대제자 용수
역사 · 종파
원시 부파 상좌부 대승
경전
경장 율장 논장
팔리어 한역 티베트
성지
팔대성지
지역별 불교
몽골 미얀마 스리랑카
인도 일본 중국
타이 티베트 한국
v  d  e  h
이 문서는 중국의 역대 불교 종파를 성립 연대순으로 나열한 목록 문서이다. 각 종파마다 소의 경전 또는 논서 · 시조 · 성립 연대(또는 해당 논서 또는 경전의 번역 연대) · 성립 당시의 나라를 표시한다.
위진 남북조 왕조들의 계통도
  1. 정토종: 정토삼부경관무량수경 · 대무량수경 · 아미타경》, 혜원, 373[1][2], 동진(東晉 317-420)[3]
  2. 삼론종: 삼론중론 · 십이문론 · 백론》, 구마라습, 404-409[4], 후진(後秦 384-417: 오호 십육국)[5]
  3. 성실종: 《성실론》, 구마라습, 411-412, 후진(後秦 384-417: 오호 십육국)[6]
  4. 열반종: 《대반열반경》(북본열반경), 담무참, 412[7] 또는 421[8], 북량(北涼 397-439: 오호 십육국)
  5. 율종: 《사분율》, 혜광, 468-537[9], 북위(北魏 386-534: 북조)[10][11][12][13][14]
  6. 지론종: 《십지경론》, 혜광, 468-537[9], 북위(北魏 386-534: 북조)[10][11][14]
  7. 선종: 불립문자 · 교외별전, 달마, 520[15][16], (梁 502-557: 남조)[17]
  8. 섭론종: 《섭대승론·섭대승론석》, 진제, 563[18], (陳 557-589: 남조)[19]
  9. 천태종: 《법화경》, 지의, 594[20][21], (隋 581-618)[22][23]
  10. 구사종: 《구사론》, 현장, 654[24], (唐 618-907)[25]
  11. 법상종: 《해심밀경·유가사지론·성유식론》, 현장, 659[26], (唐 618-907)[25][27][28]
  12. 화엄종: 《화엄경》, 법장, 699[29], (唐 618-907)[30]
  13. 진언종: 《대일경·금강정경》, 선무외, 716, (唐 618-907)[31][32]

함께 보기[편집]

주석[편집]

  1. 이동 운허 & 동국역경원. "淨土宗(정토종)", 《불교 사전》. 2011년 3월 17일에 확인: "중국에서는 백련사의 혜원(慧遠)이 정토종의 초조(初祖)가 되고"
  2. 이동 운허 & 동국역경원. "慧遠(혜원)", 《불교 사전》. 2011년 3월 17일에 확인: "373년(전진 건원 9) 부비(苻丕)가 양양(襄陽)을 공격하여 도안을 데리고 돌아가자 제자 수십인과 함께 남 형주로 가다. 뒤에 나부산으로 가는 길에 여산을 지나다가, 그곳에 혜영(慧永)의 힘을 빌려 동림사를 짓고 있으면서, 그의 덕을 사모하여 모여온 사람들 123인과 함께 백련사(白蓮社)를 창설. 염불을 수행하다."
  3. 이동 종교·철학 > 세계의 종교 > 불 교 > 불교의 분파 > 중국불교의 종파 > 정토교,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
  4. 이동 고익진 (1989). 《한국 고대 불교 사상사》, 동국대학교 출판부, p. 99: "삼론이란, 구자국(Kuccha) 출신의 삼장 구마라습(Kumarajiva 344-413)이 전진 홍시 3년(401) 장안에 들어와 대품 · 소품반야 등의 초기대승경전과 이에 입각한 용수(Nagarjuna 150-250경)계의 중관논서를 전역한 것 가운데에서 특히 용수의 중론 4권(409역)과 십이문론 1권(409역)과 제바(Aryadeva 170-270)의 백론 2권(404역)을 가리킨다."
  5. 이동 종교·철학 > 세계의 종교 > 불 교 > 불교의 분파 > 중국불교의 종파 > 삼론종,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
  6. 이동 종교·철학 > 세계의 종교 > 불 교 > 불교의 분파 > 중국불교의 종파 > 성실종,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
  7. 이동 운허 & 동국역경원. "涅槃宗(열반종)", 《불교 사전》. 2011년 3월 17일에 확인: "412년 북량(北凉)의 담무참이 『대반열반경』(『북본열반』)을 번역한 데서 성립되었다."
  8. 이동 종교·철학 > 세계의 종교 > 불교 > 불교의 분파 > 중국 불교의 종파 > 열반종,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 "<대반열반경> 40권은 북량(北凉)의 담무참(曇無讖, 385∼433)이 414년에 시작하여 전후 8년을 소비하여 421년에 완역했는데"
  9. 이동: "慧光大师", 2010年3月7日 (日) 15:14, id=12532563 판,《중국어 위키백과》. 2011년 3월 20일에 확인: "慧光大师(487年-536年),长卢(今河北定州)人"
  10. 이동: 종교·철학 > 세계의 종교 > 불 교 > 불교의 분파 > 중국 불교의 종파 > 지론종,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
  11. 이동: 운허 & 동국역경원. "地論宗(지론종)", 《불교 사전》. 2011년 3월 17일에 확인.
  12. 이동 종교·철학 > 세계의 종교 > 불 교 > 불교의 분파 > 중국불교의 종파 > 율종,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
  13. 이동 운허 & 동국역경원. "慧光(혜광)", 《불교 사전》. 2011년 3월 17일에 확인.
  14. 이동: "열반종 (涅槃宗)", 《네이버 백과사전》: "또한 북방에서도 북위(北魏)의 담회(曇淮) ·혜광(慧光), 북제(北齊)의 법상(法上), 후주(後周)의 도안(道安) 등이 연구를 계속하였으며"
  15. 이동 운허 & 동국역경원. "禪宗(선종)", 《불교 사전》. 2011년 3월 17일에 확인: 제28조인 보리달마가 520년(양의 보통 1) 중국에 와서 혜가에서 법을 전함으로부터
  16. 이동 한국사 > 중세사회의 발전 > 고려의 성립 > 호족의 문화 > 선종,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 "520년 달마(達磨)가 중국에 전하여 혜능(惠能)·신수(神秀) 등에 의하여 크게 발전하였다."
  17. 이동 종교·철학 > 세계의 종교 > 불 교 > 불교의 분파 > 중국불교의 종파 > 선종,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
  18. 이동 종교·철학 > 세계의 종교 > 불 교 > 불교의 분파 > 중국불교의 종파 > 섭론종,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 "서북 인도의 브라만 출신이었는데 548년 다수의 범어불전(梵語佛典)을 가지고 바다를 건너서 건강(建康:南京)에 상륙하여 양(梁)나라 말기 전란(戰亂)의 와중에서 각지로 전전하면서 563년 <섭대승론> 3권, <섭대승론석> 15권을 번역하고"
  19. 이동 운허 & 동국역경원. "眞諦(진제)", 《불교 사전》. 2011년 3월 17일에 확인.
  20. 이동 "천태종 소개 > 천태종이란", 대한불교천태종 홈페이지. 2011년 3월 21일에 확인: "지금부터 약 1400년 전인 594년 수나라 개황 14년 중국의 지자대사(智者大師)가 법화경을 중심으로 5시 8교 교관과 일심삼관의 수행법으로 선(禪)과 교(敎)를 통합하여 만든 종파(宗派)입니다."
  21. 이동 종교·철학 > 세계의 종교 > 불 교 > 불교의 역사 > 수·당의 불교 > 지의,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 "576년 명리(名利)를 떠나 천태산에 들어가 여기에서 약 10년간 수도 생활을 하였다. 천태교리의 대강(大綱)은 이 시기에 형성된 것이다. 그 후 금릉에서 다시 대지도론(大智度論)·인왕반야경(仁王般若經)·법화경 등을 강론하였다. 수양제(재위 604-617)의 청에 의하여 보살계(菩薩戒)를 수여하고 지자대사(智者大師)의 호를 받게 되었다."
  22. 이동 종교·철학 > 세계의 종교 > 불 교 > 불교의 분파 > 중국불교의 종파 > 천태종,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
  23. 이동 운허 & 동국역경원. "智顗(지의)", 《불교 사전》. 2011년 3월 17일에 확인.
  24. 이동 운허 & 동국역경원. "阿毘達磨俱舍論(아비달마구사론)", 《불교 사전》. 2011년 3월 17일에 확인: "당(唐)나라 때 현장(玄奘)이 651년 6월에서 654년 9월 사이에 대자은사(大慈恩寺)에서 번역하였다."
  25. 이동: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